전자는 논어의 첫구절, 후자는 맹자의 첫구절
동아시아 지식인들이 공부했다는 사서오경은 바로
내용은 뭔지 몰라도 대충 이런 문장들이 적힌 유교 경전
동아시아 위인들이 10살 때 사서오경을 뗏다 그러는데
바로 저런걸 말하는거
이걸 토씨 하나 안틀리고 외우면서 한문을 익혀옴
근현대의 서양식 용어들의 번역어 상당수도
여기 사서오경에서 유래한 단어들이 수두룩할 정도
물론 사서오경의 내용들은 제법 중고급의 한문이라
조선시대에 초보자들은 추구, 명심보감 등으로
한문을 입문하기 시작해 그렇게 커리큘럼을 탐
현대 동아시아인들도 급식 때나 대학에서 한문을 배우면
최소 한두번은 본 문장들인데
처음 저 구절을 보면 한자를 많이 아는 사람도
전혀 해석을 못함
그 정도로 한문이라는 언어를 익히는게 매우 어려움
한문의 정의는 고대 중국 춘추 전국시대의 언어를
글로 표현한 것이 한문으로
흔히 북경어 또는 보통화라 불리는 현대 중국어는
한문과 표기 방식이 매우 달라서
현대 중국인들도 각잡고 한문을 안배우면 전혀 이해를 못함
그나마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은 나은편이고
그외 나머지 오경은 춘추 전국시대 이전의 문체다 보니
일반적인 한문 문체와 많이 다르고 내용도 훨씬 어려워서
한문을 전공하는 교수들도 상당히 난해하게 여김
심지어 사서오경은 한국어 번역본도 그냥 오지게 어려운데
이걸 한문으로 공부한 전근대 동아시아 지식인들은
엄청난 굇수들였다는 거다
(IP보기클릭)106.101.***.***
(IP보기클릭)1.245.***.***
(IP보기클릭)219.248.***.***
개네들 입장에서 훈민정음 해례본 관동별곡 사미인곡 원문 같은거 읽는 느낌이지 | 25.07.06 17:39 | | |
(IP보기클릭)1.245.***.***
둘 다한테 고전원문 수업 강의해 본 선생님들 말론 그 이상인듯. 한국 학생들보다 중국 학생들이 고전원문 더 못읽고 그러는 얘기도 하시더라. | 25.07.06 20:31 | | |
(IP보기클릭)175.199.***.***
(IP보기클릭)175.199.***.***